top of page

SC | Security Council

Agenda A | 

Promoting the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대량살상무기의 군축과 비확산 촉진

Agenda B | 

Measures to Combat Cyber Threats on the Security of Critical Infrastructure

​주요 기반시설 보안의 사이버 위협에 대한 조치 마련

Committee Introduction · 위원회 소개

ENG | The Security Council is the most powerful body of the United Nations responsible for preserving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The council determines factors of aggression that threaten peace and works with its member states to settle disputes through peaceful methods. The Council is also capable of taking more assertive actions such as imposing sanctions or utilising force, if deemed necessary. It has the sole authority to command peacekeeping operations for crises or conflict management. All Member States of the United Nations are legally bound by, and therefore have the duty to comply with the Council's decisions.

The UN Security Council, as the principal decision-making body of the United Nations, holds several unique characteristics. It comprises five permanent members (P5): the United States, China, France, Russia, and the United Kingdom, who possess exclusive veto power - the power to reject any decision made in the council. Ten nonpermanent members are elected from the UN General Assembly based on their contributions to international order, serving two-year nonconsecutive terms. The council's presidency rotates alphabetically among its members, each serving for one month, aiming to empower all members equally.

Veto power's origins date back to World War II, when victorious nations shaped the postwar political order. However, criticism arises from conflicting member state interests and frequent use of veto power, particularly by the US and Russia, causing delays in the council's response to major crises.

KOR | 안전보장이사회는 국제평화와 안보를 책임지는 유엔의 가장 강력한 기구입니다. 평화를 위협하는 침략 요소를 찾아내고 회원국들과 협력하여 평화적 방법으로 분쟁을 해결하지만,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제재를 가하거나 무력을 사용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행동을 취할 수 있습니다. 안전보장이사회는 위기나 분쟁 관리를 위해 평화유지군 파견을 결정할 수 있는 유일한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유엔의 모든 회원국은 이사회의 결정에 따라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유엔의 주요 의사 결정 기관으로서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5개의 상임 이사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미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영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이사회의 모든 결정을 거부할 수 있는 권한 (거부권, Veto) 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상임 이사국 10명은 국제 질서에 대한 기여도를 바탕으로 유엔 총회에서 선출되며, 2년의 비상임 임기를 수행합니다. 이사국의 의장직은 모든 이사국에게 동등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이사국의 알파벳순으로 이사국에 의해 윤번으로 차지됩니다. 

거부권의 기원은 승전국들이 정치질서를 형성했던 제2차 세계대전 직후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최근 회원국들의 이해관계가 눈에 띄게 충돌하며, 특히 미국과 러시아의 잦은 거부권 행사로 인해 주요 위기에 대한 이사회의 대응이 지연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Agenda Introduction · 의제 소개

Agenda A | ENG & KOR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are atomic, radioactive,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that have the potential to cause large-scale destruction and harm a large number of people. The possession and proliferation of WMD poses significant danger toward global security. They can be used to terrorise people and cause economic damage. The atomic bombs dropped on Nagasaki and Hiroshima in Japan killed over 100,000 people, including innocent civilians, bringing fear to the people even until now. Another type of WMD, chemical weapons, can cause long-term health effects such as the failure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or adverse pregnancy outcomes. WMD’s immediate destruction of infrastructure leads to massive economic damage and WMD itself is costly to manage outside of times of conflict. Many of the WMD entities, including nuclear devices, biological pathogens, and radioactive material, are inexpensive to produce and easy to deploy, rendering them attractive options for many agents and therefore posing a greater threat to people. Furthermore, due to the immense destructive potential inherent in WMDs, their possession is often regarded as the symbol of power and influence. In order to maintain their status on the global stage, nations tend to be highly reluctant in the process of disarmament, and many persist to invest in the further development of WMDs. 

 

One type of the WMDs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uts particular attention to is nuclear weapons. Nuclear weapons possess the destructive capacity to obliterate entire cities and leave lasting influences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ven impacting generations to come. Due to the catastrophic effects they pose, the mere existence of nuclear weapons and technology can become a menacing threat. Though actual usage in warfare is rarely reported in history, there have been over 2000 nuclear tests conducted to date with a continuous development in nuclear technology. Efforts for the non-proliferation and disarmament of nuclear weapons have continued through acts such as the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NPT), but have failed to show meaningful progress.

대량살상무기(WMD)는 원자, 방사능, 화학, 생물학적 무기 등 대규모 파괴와 많은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는 무기들을 가리킵니다. 대량살상무기의 보유와 확산은 세계 안보에 중대한 위험을 초래하고 있으며,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하고 경제적 피해를 입히기도 합니다. 세계대전 당시 일본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으로 인해 무고한 민간인을 포함해 10만 명 이상이 사망하여 현재까지도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주고 있습니다. 또 다른 대량살상무기의 한 종류인 화학무기는 중추신경계의 기능 상실이나 임신 부작용과 같은 장기적인 건강상의 영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량살상무기는 기반시설을 파괴하여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초래하며, 분쟁의 시기 외에도 탐색하고 관리하는 데 많은 비용이 요구됩니다. 핵장치, 생물병원체, 방사성물질 등 여러 종류의 대량살상무기들이 저렴하고 배치가 용이하여 사람들에게 더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대량살상무기는 엄청난 잠재적인 파괴력으로 인해 종종 권력과 영향력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국가들은 세계에서 그들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군축 과정에 매우 소극적인 태도로 임하는 경향이 있고, 오히려 많은 국가들이 대량살상무기의 추가 개발에 투자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가 특히 주목하는 대량살상무기 중 하나는 핵무기입니다. 핵무기는 도시 전체를 파괴하고 주변 환경에 지속적인 영향을 남길 수 있는 파괴력을 가지고 있으며, 다음 세대에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핵무기는 그 존재만으로도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전쟁에서 실제 사용된 사례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지만, 핵 기술은 지속적적으로 발전하고 있어 현재까지 총 2000번 이상의 핵실험이 진행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핵무기 비확산 및 군축을 위한 노력은 핵무기비확산조약(NPT)과 같은 법을 통해 지속되어 왔지만 의미 있는 진전을 보여주지는 못했습니다.

Agenda B | ENG & KOR

With rapid developments in technology, cyber-attacks on critical infrastructure networks have become a growing concern. Cyberattacks are increasingly targeted on critical infrastructure, infrastructures considered as the backbone of the nation’s society, namely infrastructure related to the energy sector. By disrupting the systems that control vital sectors of the society, attackers can have a devastating impact on national economic stability, public health or safety, and security. Vital sectors such as the energy, transportation, or telecommunications sectors are the main targets of attackers, with facilities connected to electricity and financial services also being frequently exposed to attacks. 

 

Unlike the past where critical infrastructure often operated in isolation, critical infrastructure has become much more intertwined, automated, and reliant upon connected networks. As critical infrastructure systems are becoming increasingly dependent 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rconnected to other infrastructure networks, they have become more vulnerable to cyberattacks. Systems in the power and electricity sector, for example, are usually interconnected to create a more efficient and robust energy grid. While such an interconnected form indeed yields significant benefits to the public, it simultaneously leaves the systems more open and susceptible to cyberattacks.

Given such transitions are occurring in the mode of operation, there is a rising importance on protecting critical infrastructure networks. An attack on these networks can impact every aspect of daily life and bring about catastrophic damage on public infrastructures as well. Delegates must carefully consider the gravity and complexity of the issue to come up with plausible solutions.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중요 인프라 네트워크에 대한 사이버 공격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사이버 공격은 에너지 인프라와 같이 국가 사회의 중추로 간주되는 중요한 인프라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사회의 중요 부문을 통제하는 시스템을 파괴함으로써 공격자는 국가 경제 안정, 공중 보건 또는 안전, 보안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에너지, 교통 또는 통신 분야와 같은 중요 부문이 주요 공격 대상이며, 전기 및 금융 서비스와 연결된 시설도 공격에 자주 노출됩니다.

중요 인프라가 분리되어 운영되는 경우가 많았던 과거와는 달리 현대 사회의 핵심 인프라는 훨씬 더 얽히고 자동화되며 연결된 네트워크에 의존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인프라 네트워크에 상호 연결됨에 따라 중요 인프라가 사이버 공격에 더욱 취약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전력 및 전기 분야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강력한 에너지 그리드를 만들기 위해 상호 연결됩니다. 이러한 상호 연결된 형태는 실제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시스템을 보다 개방적으로 만들어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운영 방식을 고려했을 때 중요한 인프라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요 네트워크에 대한 공격은 일상 생활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공공 인프라에도 치명적인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안전보장이사회의 대사들은 이러한 문제의 중대성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해결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sc.p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