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UNHRC |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Agenda A | 

Securing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labour rights in post-pandemic situation

팬데믹 이후 노동권의 올바른 이행을 위한 노력

Agenda B | 

Building frameworks and infrastructure to promote social inclusion of disabled people

​장애인의 사회적 포용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 및 기반시설 구축

Committee Introduction · 위원회 소개

ENG |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is an intergovernmental organisation that stands as a main proponent for securing human rights around the globe. Founded in 2006 by the General Assembly, the Human Rights Council fosters proper acknowledgment and social promotion of human rights. Decisions are made by 47 countries respectively designated through the consent of United Nations member states. Some major responsibilities of HRC include monitoring governments to ensure they adhere to the decisions of the council, warning of potential human rights infringement, and responding to actions that hint at human rights abuse. 

HRC works with active support from the Advisory Committee and Special Procedures, the authorities of expertise regarding specific rights or countries. Together, the three bodies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citizens’ sense of assurance regarding human rights.

KOR | 유엔 인권 이사회(HRC)는 전 세계의 인권보장에 주요 지지자의 역할을 하는 정부간 기구로, 인권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사회적 인권 보장을 증진합니다. 2006년 유엔총회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유엔 회원국의 동의 하에 지정된 47개국이 소속되어 있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의 주요 역할에는 국가정부의 유엔 인권이사회 결정사회 준수 모니터링, 잠재적인 인권 침해에 대한 경고, 인권 침해를 암시하는 행동에 대한 사전예방 및 대처 등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특정 권리 또는 국가에 관한 전문성을 가진 '자문위원회'와 '특별절차'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 3개 기관은 함께 인권에 관한 시민들의 믿음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Agenda Introduction · 의제 소개

Agenda A | ENG & KOR

The COVID-19 pandemic and subsequent shutdowns accelerated the shift from traditional commuting to teleworking, bypassing the usual transitional phase. The quick innovation triggered the majority of vulnerable workers to be further marginalised in temporary positions or insecure jobs. In 2022, more than 200 million people worldwide were cut off access to the labour market due to mass unemployment. The current social infrastructure proved to be incapable of remedying jobless citizens. The COVID-19 pandemic not only created radical transformations in the labour market but also exposed structural obstruction of it and the mistreatment of the rights of our vulnerable stakeholders. This social alarm brought light to pre-existing dilemmas like unstable unemployment insurance for low-wage workers, the predicament of informal workers, representative gaps of gender inequality, and even child labour. Our problem extends further to the workers who had access to digital tools. They were able to swiftly adapt to the digitalization and telecommuting, taking advantage of flexible working schedules in these new hybrid work patterns. However, the steep surge of flexibility in working environments were a  new challenge for workers, such as eroding the boundaries between personal and work time, and in some cases, neglecting, employee's privacy and labour rights.

To provide the enjoyment of fundamental labour rights, delegates must focus on improving work conditions by stabilising work environments from home, promoting gender-equal opportunities in participation in leader positions within the labour market, providing job search assistance and security of income during the process, and refurbishing the social net to empower labour rights.

 

코로나 유행으로 전세계적인 봉쇄가 진행되며, 근무환경 또한 출퇴근 방식에서 재택근무제로 급격한 전환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혁신은 대다수의 임시직이나 불안정한 일자리의 취약 노동자들을 더욱 소외시켰습니다. 2022년, 전 세계에서 2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실업으로 인해 노동시장에서 제외됐으며, 현재의 체제는 실업자를 효과적으로 구제해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라 노동 시장은 급격한 변화를 맞이했고, 이러한 과정에서 사회구조적 문제와 취약계층의 인권 침해 등 본질적인 문제 또한 드러났습니다. 저임금 노동자들을 위한 실업급여, 임시직, 성 불평등의 대표적 격차, 아동 노동 등의 딜레마가 조명되었습니다. 

노동 시장에서 소외되지 않은 기존의 노동자들 또한 코로나 팬데믹으로 변화한 노동 구조에서 새로운 문제점들을 마주했습니다. 이들은 재택근무선택제도의 유연한 근무 일정의 이점을 활용하여 디지털화와 재택 근무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노동 환경의 급격한 유연성 급증으로 개인생활과 노동 시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일부 경우에는 직원의 사생활과 노동 권리를 무시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기본적인 노동권의 보장을 위해, 유엔 인권이사회의 대사들은 재택근무 환경 안정, 노동 시장 내의 양성평등한 승진기회, 구직자에 대한 고용보조와 소득보장, 노동권 관련 사회적 네트워크 정비 등을 통해 노동 조건을 개선할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Agenda B | ENG & KOR

As Article 25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UDHR) emphasises, every human being deserves “a standard of living adequate for the health and well-being of himself including necessary social services, and the right to security”. The UDHR must be rigorously and comprehensively applied to all individuals, regardless of gender, social status, nationality, religious affiliation, and notably, disabilities. Every individual in need of support has an inherent human right to receive such assistance. Unfortunately, the safeguarding of fundamental human rights remains lacking in many communities of our society. 

In this agenda, we will focus on the provis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day, 16% of the world’s population, a significant number of approximately 1.3 billion people, possess serious disabilities or chronic health issues. Developing countries’ disability-related infrastructure exhibits insufficient accessibility and high costs. In the status quo, where 80%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from the Third World, the urgency of the matter is pronounced. Even in more developed countries, many facilities are merely superficially present. Especially, the  COVID-19 pandemic spotlighted the social blindspot of structural hurdles that constrain the convenience of our stakeholders. Accessibility to infrastructure ruled out the chance of suppliance of in-person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critical that we reach a society equipped with inclusion that grants full accessibility to buildings, facilities, workspace, and social communication by procurement of measures that target fundamental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y. Alongside the enhancement of infrastructure, world citizens must focus on improving citizenship for a conscientious global society. Persons with disabilities must have the same human rights and the chance to participate in our community as everyone else.

세계인권선언(UDHR) 제25조는 '모든 사람은 의식주, 의료 및 필요한 사회복지를 포함하여 자신과 가족의 건강과 안녕에 적합한 생활수준을 누릴 권리와 , 실업 , 질병 , 장애 , 배우자 사망, 노령 또는 기타 불가항력의 상황으로 인한 생계 결핍의 경우에 보장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라고 강조합니다. 세계인권선언은 성별, 사회적 지위, 국적, 종교적 소속, 그리고 장애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개인에게 엄격하고 포괄적으로 적용되어야 합니다. 모든 개인은 본질적으로 자신에게 필요한 지원과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천부 인권을 가지고 있음에도, 기본적인 인권의 실질적인 보호는 대부분의 공동체에서 여전히 부족합니다.

오늘날 전 세계 인구의 16%, 약 13억 명 중 상당수가 중증 장애 또는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가운데, 본 의제는 이러한 장애인의 지원 문제를 중심적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개발도상국의 장애 관련 제반시설은 접근성이 부족하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선진국에서도 이러한 제반시설은 때때로 피상적인 존재일 뿐이지만, 장애인의 80%가 개발도상국 출신인 현 상황에서 문제의 시급성은 더욱 두드러집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은 장애인을 사회적 사각지대에 놓아둔 사회구조적 문제를 부각시켰습니다.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이 충분치 못한 현 상황은 장애인 서비스의 직접적이고 효율적인 제공을 저해합니다. 장애인의 기본권을 목표로 두고 건물, 시설, 업무공간, 사회적 소통에 대한 접근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포용적인 사회에 도달하는 것이 중요하며, 사회기반시설의 확충과 더불어 포용적인 글로벌 사회를 위한 세계시민의식 향상에 집중하며, 장애인도 다른 사람들과 동일한 인권을 가지고 우리 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나아가야합니다.

unhrc.png
bottom of page